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복지혜택

장애인 고용장려금 완벽 가이드 신청 방법부터 지원 혜택까지 총정리

by 영쥬르 2025. 5. 31.

 

장애인 고용, 비용만 늘어난다고 생각하시나요?
정부의 '장애인 고용장려금'을 통해 기업의 부담을 줄이고, 사회적 책임도 실현해보세요!
지금부터 신청 방법과 혜택을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 목차

  1. 장애인 고용장려금이란?
  2.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3. 지원 금액 및 지급 기준
  4. 신청 방법 및 절차
  5. 제출 서류 안내
  6. 유의사항 및 주의점
  7.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 제도
  8. 접속 가능한 신청 링크

1. 📝 장애인 고용장려금이란?

장애인 고용장려금은 장애인 근로자의 직업생활 안정을 도모하고 고용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의무고용률을 초과하여 장애인을 고용하는 사업주에게 일정액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2. ✅ 지원 대상 및 자격 요건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사업주가 지원 대상입니다:

  • 월별 상시근로자의 의무고용률(민간 3.1%, 공공 3.8%)을 초과하여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주
  •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하거나 최저임금 적용 제외 인가를 받은 장애인 근로자
  • 고용보험에 가입된 장애인 근로자

※ 단, 장애인 근로자 2명 이상을 고용해야 고용장려금 지급 대상이 됩니다. 


3. 💰 지원 금액 및 지급 기준

지원 금액은 장애인의 성별과 장애 정도에 따라 다르며, 지급 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남성 여성

경증 장애인 35만 원 50만 원
중증 장애인 70만 원 90만 원

※ 지급 단가와 월임금액의 60%를 비교하여 낮은 단가를 적용합니다. 


4. 📝 신청 방법 및 절차

고용장려금은 분기별로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 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월 1일 ~ 3월 31일: 당해연도 4월 1일부터 3년간
  • 4월 1일 ~ 6월 30일: 당해연도 7월 1일부터 3년간
  • 7월 1일 ~ 9월 30일: 당해연도 10월 1일부터 3년간
  • 10월 1일 ~ 12월 31일: 다음연도 1월 1일부터 3년간

신청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자신청: e신고 시스템
  2. 우편 또는 방문 접수: 사업체 본사 소재지를 관할하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 및 지사에 제출

전자신청을 할 경우, 정확한 계산 및 처리 기간 단축으로 지급이 빨리 이루어지므로 가능하면 전자신청을 권장합니다. 


5. 📄 제출 서류 안내

신청 시 다음 서류를 제출해야 합니다:

  • 고용장려금 지급신청서
  • 장애인근로자 명부
  • 장애인 인정서류(복지카드, 국가유공자증, 장애인증명서 등)
  • 중증장애인임을 인정할 수 있는 서류
  • 장애인 근로자의 월별 임금대장
  •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또는 전체 근로자의 월별 임금대장
  • 기타 고용장려금 처리에 필요한 자료(요구 시 제출)

※ 최초 신청 시에만 장애인 인정서류와 중증장애인 인정서류를 제출하며, 이후에는 생략 가능합니다. 


6. ⚠️ 유의사항 및 주의점

  • 중복 지원 제한: 다른 법령에 따른 지원금을 지급받는 장애인 근로자에 대해서는 그 지급 기간에는 고용장려금에서 타 지원금을 뺀 차액만을 지급합니다. 
  • 부정수급 제재: 거짓이나 그 밖의 부정한 방법으로 고용장려금을 지급받은 경우, 부정수급액 환수, 추가징수, 지급 제한, 벌칙 및 형사고발 등의 조치를 받을 수 있습니다. 

7. 🌟 함께 알아두면 좋은 관련 제도

장애인 고용장려금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제도가 있습니다:

  • 장애인 신규고용장려금: 상시근로자 수 5인 이상 50인 미만의 사업주가 장애인 근로자를 신규 고용하고 6개월 이상 고용 유지 시, 월 임금액을 지원합니다. 
  • 직무 적응 지원금: 장애인이 신규 업무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담 지원 인력 채용 시, 인건비 일부를 지원합니다.
  • 장애인 근로지원인 지원 제도: 중증 장애인의 직무 수행을 보조하는 근로지원인의 비용을 지원합니다.

8. 🔗 접속 가능한 신청 링크